본문 바로가기

1대간/新백두대간(完走)

신백두대간(돌고지재~구영고개 ; 2015-10-11)

대간길, 정맥길을 하면서 오늘처럼 알바를 많이 해본적은 처음이다. 독도법을 정식적으로 공부 안한 탓이 크지만 길 또한 희미하여 알바를 안할수가 없었다. 오늘 함께한 분들중에 알바 안한사람이 없었으니. 돌고지재에서 황토재까지는 임도길이 나란히 있어 대간길이 목적이 아니신분들은 편안하게 임도길따라 진행할수 있었다. 당초 대간길이 아닌 이명산을  마음에 품었지만 잦은 알바와 임도길로 진행하는 후미와 대동소이하게 움직여 포기해야만 했다. 함께한 산악회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었다면 갔다왔어도 무방할뻔 했는데 아쉽다.

ㅇ 산행구간 : 돌고지재 ~ 우듬지 분기봉 ~ 계봉(시루봉, 달구봉) ~ 구영고개

ㅇ 산행거리 : 18.83Km

ㅇ 산행시간 : 5시간 39분

ㅇ 시간당 평균 이동거리 : 3.33Km

TOTAL CLIMB : 957m

ㅇ 트랙 :

신백두(돌고지재_구영고개)RK_gpx _2015-10-11_0909.gpx
0.19MB

ㅇ 5만도 도엽 : 곤양

 

 

산행개념도
09:09 돌고지재를 출발한다. 임도를 따라 올라서다 임도를 가로질러 이동하는데 이곳에서 바로 숲으로 진행한 루트가 있어 이리저리 살펴봤지만 숲이 우거져 포기한다
 09:21 임도를 가로질러 올라서면 다시 임도를 만나고 또 가로지르면
09:21 산불감시 초소가 있고, 다시 임도길을 따라가다
09:24  숲길로 들어선다
 09:31 526.9봉을 지나고
09:38 우듬지 분기점

우측으로 꺽어야 하는데 낙남길을 따라 옥산으로 알바한다

 

09:45 백두대간 우듬지 분기점 / 이놈을 못봤네
09:51 임도를 만나 좌측으로 진행
09:52 이정표를 지나고
09:57 472.7봉을 오르기 위해 숲길로
10:04 472.7봉
10:09 임도를 만나 가로지르고
10:20 다시 임도를 만나 30m 진행하다 숲길로
10:27 480.5봉 / 약 100m 내려서면서 왼쪽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임도길을 따라 대간길을 잇는다
임도길을 쭉 진행하다 일천봉 다달아 10시49분경 임도를 버리고 좌측 숲길로 들어선다
10:51 489.2봉

50m 진행하다 우측 임도로 내려서야 하는데 직진(길이 선명함)하여 금촌마을 방향으로 알바, 되돌아서기 싫어 숲길 횡단. 임도를 따라 걷다 450.3봉이 보이면서 다시 임도 버리고 숲길로 진입

 

11:02 450.3봉
11:13 해돋이봉 진입로 / 선기동봉에서 내려서면 임도를 만나 임도를 따라 진행하다 해돋이봉에 오르기 위해 숲길 진행  
11:17 376.6봉 / 정상에 구지뽕나무가 있다.
11:23 황토재 / 돌고지재에서 임도를 따라 오면 여기까지는 진행가능하다
11:30 337.5봉
11:53 ~ 12:15 수구재 / 점심식사를 하고 임도를 따라 340.4봉을 올라섰다. 청솔 휴계소에서  340.4봉을 향하는 루트가 있는데 그곳은 개인 사유지로 진입이 불가 한걸로 추정되는데 확인은 안해봤다
12:23 340.4봉 / 수구재에서 임도를 따라 올라서다 12시20분경 이명산1 표지판을 만나면 좌측 숲길로 들어선다
12:35 306.4봉
12:38 계 봉까지 2.2Km
12:41 283.8봉
13:02 계봉까지 0.8Km
두번째 봉우리가 이명산, 대간길과 반대방향에 위치해 있다. 왕복 3.4Km, 1시간 10분 거리로 다녀오고 싶은 생각은 꿀떡 같지만 임도를 타고 오던 대간길을 걸어오던 아무튼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어 감히 엄두를 못낸다. 게다가 처음 따라온 산악회라서
대간길의 끝 남해바다
지나온 대간길
13:14 ~ 13:18 계봉(달구봉, 시루봉)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지명편(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하면 이명산은 "경상남도 하동군진교면 월운리·북천면 직전리에 걸쳐있으며 사천시 곤양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570m). 『해동지도』(하동), 『해동여지도』(하동), 『광여도』(하동) 등의 고지도에도 이맹산이 그려져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이맹점()이 봉명산 위쪽에 표기되었다. 『하동지』에 의하면, "지리산 한 맥으로 시루봉[], 닭구봉[], 차일봉, 깃대봉[]과 병립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이맹점에는 이맹굴()이 있었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하동)에는 기록하였으며, 『여지도서(보유)』(하동)에 "지금은 없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18세기 중엽 이전에 없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맹점에는 용지()가 있어서 마을 사람들 중에 맹인들이 많이 나고 두려움의 대상이었는데, 경주의 사례를 적용하여 산의 용을 진압함으로써 이를 방지했다는 내용의 전설이 있다. 용지는 이명산의 서편에 위치한 달구봉에 있는데, 화철석을 달구어 넣은 곳이라 하여 달군봉이라고 하였던 것은 닭구봉으로 부르고 한자로는 계봉()이라 하였다." 해서 1개의 봉우리에 3개의 지명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거 같다. 아무튼 이명산에 못간걸 아쉬워하며 양보로 향한다

 

13:25

소원성취탑을 지나고 13시32분 396.7봉 아래서 직진하여야 하는데 오른쪽으로 돌아서 올라선다. 일종에 알바다

 

13:36  396.7봉
앞에 보이는 등로는 소원성취탑에서 396.7봉을 거치지 않고 이명산 편백숲으로 내려서는 등로?
13:43 ~ 13:51 이명산 편백나무숲

휴식 및 알바, 대간길은 요놈 표지판 우측 넓은 공터로 진행

 

13:58  농장을 지나고
14:09 농장끝에서 좌측 산길로 들어서고
14:19 191.8봉을 지나고
14:21 봉골재?를 가로질러
14:22 농장으로 진입한다
14:27 ~ 14:30 마지막 봉우리 244.2봉을 치기 위해 잠시 휴식을 취한다. 파란 지붕이 농장
14:34 244.2봉
14:40 73번 송전탑을 지나고
14:49 구영고개
다음구간 들머리

[참고사항]

1.함께한 산악회 : 맥클

2.참가비용 : 4만원(교통비, 목욕, 하산주 및 라면제공)

3.운행차량 : 25인승(선롱)

4.TIME Schadule

 ㄱ.06시45분 : 구포역 1번 출구 (이동 방향 :진역-하단-구포-대저사거리)

           문산휴계소 경유

 ㄴ.09시03분 : 돌고지재 도착(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ㄷ.09시09분 : 산행시작

 ㄹ.15시55분 : 산행종료, 하산주 및 라면 / 구영고개(경남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ㅁ.16시05분 : 유진탕 도착(경남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 / 055-882-1317) 

 ㅂ.16시48분 : 유진탕 출발

        진영휴계소 경유 (남해 고속도로 정체)

 ㅅ.18시59분 : 신대저교차로 도착

신백두(돌고지재~구영고개)RK_gpx _2015-10-11_0909.gpx
0.2MB

'1대간 > 新백두대간(完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