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63지맥(신산경표)

정수지맥 개요 및 산행계획표 정수지맥(淨水枝脈)은 진양기맥 소룡산(761m) 남쪽 약 0.8km, 밀치(59번도로) 서쪽 0.6km 지점인 약 625m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서로는 경호강, 동으로는 양천을 가르며 매봉(599m), 구인산(584.1m), 정수산(829.1m), 마제봉(198.7m), 적벽산(166.3m)을 지나 양천이 경호강에 합류하는 산청군 신안면 하정리(원지)에서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4.7km 되는 산줄기로 양천의 좌측 분수령이 된다. o 총괄트랙 : 정수-ALL.gpx 정수지맥(분기봉~궁소마을 갈림길) 정수지맥(궁소마을 갈림길~둔철생태체험숲) 정수지맥(둔철생태체험숲~남강&양천강 합수부) 더보기
도봉지맥 이란 여암 신경준 선생의 산경표에는 한북정맥을 한강봉~챌봉 ~ 울대고개 ~ 도봉산으로 이어 교하의 장령산으로 끝맺음하였는데, 이는 대간이나 정맥이 10대 강이나 바다에서 그 맥을 다하여야 한다는 대원칙에 위배되는 바, 박성태 선생은 신산경표에서 이를 지적, 수정해 정맥상의 한강봉을 지난 산줄기가 양주시 장흥면과 백석읍의 경계인 꾀꼬리봉(387.5m) 부근에서 그 정맥 마루금이 울대고개로 향한 것을 서진시켜 말머리고개를 지나 개명산(559.9m), 됫박고개, 월롱산(229m), 보현산(108m)을 지나 오두산(110m)에 이르는 약221.3Km의 구간이 우리나라 산줄기 체계에 더 합당하다고 하면서 이를 원산경표상의 한북정맥(도상거리 약 234.8Km)과 구별하기 위해 신한북정맥이라 명명하고, 산경표상의 신한북정.. 더보기
덕산지맥(분기점~논골재 ; 2018-04-29) 살아가며 보는 시야가 넓어져야 하는데, 4월 마지막 주말은 자율 산행하는 날이다. 벽소령산악회에서 5주차 있는 달만 뽑아 한강기맥 한다던데 첫구간 오대산 국립공원이 산방 기간에 걸려 7월부터 할 예정이라 어디를 갈까 고민하다 청산일월 산악회에서 덕산지맥 1차 산행이 올라져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한 산행은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아 포기 했었는데, 1차만 따라갈까 하다 1박하고 2구간까지 진행하면 나머지 구간은 대중교통이 가능하여 일월산 근방에 민박 가능한곳을 수배하니 하루 숙박료가 십만원이다. 식사 세끼 포함하여 5만원까지 생각 했는데, 헉 조금 깍아 볼려는 심정에 혼잔데 말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다. 식사는 어떻게 하느냐니 직접 해먹으란다. 4끼를 짊어지고 갈수 없는 노릇이라 민박은 포기다. 방향을 바.. 더보기
덕산지맥 개요 및 산행 계획표 백두대간 매봉산(1305.3m)에서 부산 몰운대로 가는 낙동정맥이 974봉(칠보산?) 남쪽 2.2km 지점 무명봉 직전에서 서남쪽으로 가지를 쳐 일월산(1217.7m) 서북쪽 2.4km지점에서 일월지맥 산줄기 하나를 떨구고 남서진하여 동화재,덕산봉(690.3m), 논골재, 정갈령, 벳티재, 금댕이재, 사부란재, 관재를 지나 반변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안동시 용상동 법흥교앞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73.1km되는 산줄기를 덕산지맥(德山枝脈) 칭한다. 이 산줄기 우측(북.북서)으로 흐르는물은 안동호로 들어 낙동강 본류가 되고 좌측(남 .남동)으로 흐른 물은 임하호로 흘러들어 반변천이 되어 낙동강에 합류한다. 덕산지맥(분기점~논골재) 덕산지맥(논골재~장갈재) 덕산지맥(장갈재~금댕이재) 덕산지맥(금댕이재~.. 더보기
화림지맥(분기봉~삼화리갈림 ; 2018-04-15) 부산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화림지맥 접근 방법은 두군데로 파악했다. 포도산 야영장과 영덕 도계리 서향목재에서 분기봉을 왕복하는 방법이 있는데 포도산 야영장은 대중교통 이용시 고비용뿐만 아니라 소요시간이 문제고 영덕 도계리는 하루 2번 운행되는 버스 시간 문제로 미루며 .. 더보기
화림지맥 개요 및 산행계획표 화림지맥(華林枝脈)은 낙동정맥 명동산(明童山 813.1m) 남쪽 700m지점인 800.4m봉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포대산(440.9m), 국사당산(516.4m), 화림산(348.2m)과 봉화산(141m)을 지나 강구항에서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2.7km의 산줄기를 말하며 영덕 오십천의 우측 분수령이 된다. o 총괄트랙 : 화림-ALL.gpx 화림지맥(분기점~삼화리 갈림) 화림지맥(삼화리 갈림~동해&오십천 합수부) 더보기
비슬지맥(앞고개~상남천 ; 2018-02-17) 홀로 떠나는 맥 산행에 처음으로 발을 들인 비슬지맥. 1여년의 시간을 두고 이제사 마무리 하게 된다. 지맥 산행 계획중 한구간 도상거리가 최고에 달하는 비슬지맥을 무사히 마쳤으니 다른 맥 산행도 진행 하는데 별 무리가 없을것 같다. 되도록이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코자 했는데 이번 구간은 들머리를 버스로 진행하면 야간 산행과 막차를 놓칠 경우 택시를 이용해야 될것 같아, 초반부터 택시로 들머리에 진입한다 ㅇ 산행구간 : 앞고개 ~ 우령산 ~ 종남산 ~ 팔봉산 ~ 인산 ~ 외산교 ㅇ 산행거리 : 29.36Km ㅇ 산행시간 : 8시간 58분 ㅇ 시간당 평균 이동거리 : 3.27Km ㅇ TOTAL CLIMB : 2,082m ㅇ 트랙 : ㅇ 5만도 도엽 : 청도, 밀양, 창원 ㅇ 현지 기온 : 대략 -3˚~6˚ .. 더보기
여수지맥(창무리~힛도 ; 2018-02-10) 여수지맥. 정점에 치다를수록 진가를 발휘한다. 휴 이런 악조건도 없으리라. 진이 다빠지는것 같다. 고흥지맥은 어찌할꼬. 마지막 산행에서 온몸에 상처투성이다. 손등은 말할것도 없고 허벅지 등등. 오늘은 컨디션이 안좋았는지 산행내내 힘들다는 느낌이 들었다. 설때 비슬지맥 마무리를 해야 하는데 30Km를 어찌갈꼬. 마지막 주는 호남 땜방 1박2일은... ㅇ 산행구간 : 창무리 ~ 비봉산 ~ 안양산 ~ 고봉산 ~ 봉화산 ~ 백야대교 ㅇ 산행거리 : 21.51Km ㅇ 산행시간 : 7시간 27분 ㅇ 시간당 평균 이동거리 : 2.89Km ㅇ TOTAL CLIMB : 1,455m ㅇ 트랙 : ㅇ 5만도 도엽 : 여수 ㅇ 현지 기온 : 대략 -3˚~8˚ / 바람이 강하게 붐 더보기